비건 초콜릿 :: 초콜릿도 채식이라고 할 수 있을까?

초콜릿은 카카오 콩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채식주의자에게는 좋은 소식입니다. 왜냐하면 초콜릿은 본질적으로 식물성 식품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초콜릿을 만들 때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비건 채식 여부가 결정되기 시작합니다. 비건 초콜릿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본질적으로 초콜릿은 식물성 식품,
그러나 제조 과정에 따라 달라지는..

초콜릿 제조 과정은 코코아 나무에서 시작됩니다. 농부들은 10월과 12월 사이에 코코아 콩을 수확하게 되며, 그 후에는 콩을 펄프와 함께 햇볕에 말리고 발효시킵니다. 그리고 코코아 콩은 분쇄되어 코코아 가루가 되며, 이것이 베이킹이나 음료에 사용되는 원료가 됩니다.

하지만 초콜릿이 비건인지 여부는 추가 재료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콜릿에 우유와 같은 다른 재료를 첨가하면 비건이 아니게 됩니다. 밀크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 우유 또는 분유를 추가하면 초콜릿은 비건이 아닌 것이죠.

비건 초콜릿이 만들어지는 과정

비건 초콜릿는 동물성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만들어진 초콜릿입니다. 비건 초콜릿 바를 선택할 때는 최소한의 재료로 만들어진 초콜릿을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인 비건 초콜릿 바에는 초콜릿 주류, 설탕, 코코아 버터(비건이라고 할 수 있는 천연 코코아 지방), 그리고 바닐라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특히, 다크 초콜릿은 채식주의자에게 좋은 선택지입니다. 다크 초콜릿을 선택할 때는 카카오 함량이 50% 이상인 것을 찾아보세요. 카카오 함량이 높을수록 초콜릿의 풍미와 함유량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비건 초콜릿 맛은 어떨까?

카카오 함량이 높을수록 초콜릿의 맛은 차라리 쓴 편에 가깝습니다. 카카오의 쓴맛 때문에, 우유와 같은 동물성 재료들을 첨가하려 맛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게되는 것이죠.

비건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유가 아닌 코코넛 밀크, 캐슈 밀크, 귀리 밀크, 헤이즐넛 버터 등 다양한 비건 재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초콜릿의 건강상의 이점

매일 다크 초콜릿 한 두 개 정도를 먹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크 초콜릿에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폴리페놀과 같은 천연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폴리페놀은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며, 초콜릿의 폴리페놀은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을 위해 초콜릿을 섭취할 때에도 적당한 양과 균형있는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섭취는 칼로리와 지방 섭취량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